분류 전체보기 (130) 썸네일형 리스트형 블록체인의 에너지 효율성 경쟁: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 혁신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이면서도 가장 큰 논쟁거리 중 하나인 에너지 효율성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초기 블록체인은 막대한 전력을 소모하며 환경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이는 블록체인이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 글을 통해 비트코인의 막대한 에너지 소모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지분증명(PoS) 방식은 물론, 솔라나의 역사 증명(PoH), 헬륨의 커버리지 증명(PoC) 등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들이 어떻게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지 기술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 비트코인의 에너지 문제: 작업 증명(PoW)의 딜레마비트코인의 합의 메커니즘인 작업 증명(Proof-of-Work, PoW)은 블록체인 역사상 가.. 새로운 토큰 표준과 기능의 확장: 블록체인, 자산의 한계를 넘어서다 블록체인 생태계의 숨겨진 혁신, 바로 '토큰 표준(Token Standard)'의 진화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블록체인의 전부로 생각하지만, 사실 이더리움 생태계의 폭발적인 성장은 ERC-20, ERC-721과 같은 토큰 표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 표준들은 개발자들이 코인을 발행하고 NFT를 만드는 과정을 획일화하여 생태계의 성장을 가속했다. 하지만 이 표준들도 나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글을 통해 기존 표준의 한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ERC-1155, ERC-4907과 같은 새로운 표준들이 어떻게 블록체인의 기능을 확장하고 새로운 활용 분야를 열고 있는지 기술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 블록체인의 기본 자산: ERC-20과 ERC-721의 성공과 한계이더.. NFT의 기술적 진화: 동적 NFT와 프로그래머블 NFT 이전 블로그에서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의 개념과 응용에 대하여 여러번 이야기했지만 오늘은 NFT의 기술적 진화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많은 사람들이 NFT를 '비싼 JPG' 정도로만 생각하지만, 이는 NFT의 초기 모습일 뿐이다. 초기 NFT는 단순히 디지털 이미지나 영상의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정적인(Static) 자산이었다. 하지만 최근 NFT는 외부 데이터에 반응하여 스스로 진화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동적 NFT(Dynamic NFT)와 프로그래머블 NFT(Programmable NFT)로 진화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동적 NFT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 기술이 게임, 예술, 신원 증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떤 혁신을 가져오.. 온체인 데이터 분석과 인프라의 발전: 블록체인 데이터, 가치를 말하다 블록체인 기술의 숨겨진 가치를 드러내는 핵심 분야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On-chain Data Analysis)과 그 인프라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활동, 즉 거래(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 호출, 자산 이동 등은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 방대한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은 이 데이터를 수집, 정리, 분석하여 시장의 흐름, 사용자 행동, 프로토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을 통해 온체인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더 그래프(The Graph)와 같은 탈중앙화 인덱싱 프로토콜이 어떻게 이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활용하는지 기술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 온체인 데.. DeSci와 과학 연구의 혁신: 블록체인, 과학의 미래를 바꾸다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과 예술을 넘어, 가장 신뢰받아야 할 분야인 과학 연구에 어떻게 혁명을 가져오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현재의 과학 연구 시스템은 비효율적이고 불투명하며, 데이터 조작이나 연구 결과의 독점과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DeSci(Decentralized Science)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과학 연구의 투명성, 접근성, 그리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 글을 통해 DeSci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과학 연구를 혁신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1. 현재 과학 연구 시스템의 문제점과학 연구는 인류 발전의 근간이지만, 그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고질적인 문제들이 존재한다.불투명한 자금.. ZK-VM의 등장과 의미: 영지식 증명이 블록체인을 확장하는 방법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가장 유망한 기술 중 하나인 ZK-VM(Zero-Knowledge Virtual Machine)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제로 지식 증명에 대해서는 이미 블로그에서 다룬 바 있는 (8월17일: 제로 지식 증명 -'증거는 있지만 정보는 없다', 8월10일: zk, Rollup, L2... 도대체 이게 뭔가요?)주제이나 이번에는 ZK-VM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이제는 크립토스퀘어 구독자이면 알다시피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의 표준이 되었지만, 느린 처리 속도와 높은 수수료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다. ZK-VM은 이더리움의 핵심인 EVM(Ethereum Virtual Machine)에 영지식증명(ZK-Proof) 기술을 결합하여,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탈중앙화 선물 거래의 새로운 기준? 탈중앙화 금융(DeFi) 분야에서 가장 혁신적인 프로젝트 중 하나인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블록체인 혁명의 서막을 열었지만,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여전히 느린 속도와 높은 수수료라는 고질적인 문제에 직면해 왔다. 이는 사용자들이 중앙화 거래소(CEX)의 편리함을 버리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다. 하이퍼리퀴드는 이 문제를 정면으로 돌파하며, 중앙화 거래소에 필적하는 성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 글을 통해 하이퍼리퀴드가 어떻게 작동하며, 어떤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왜 이 프로젝트가 블록체인 생태계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1. 탈중앙화 거래소의 한계: 느린 속도와 높은 .. 온체인 거버넌스: 탈중앙화 자율 조직의 진화 블록체인 생태계의 민주주의이자, 탈중앙화의 핵심 개념인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초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비트코인처럼 오프체인(Off-chain) 커뮤니티의 합의에 의존하여 규칙을 변경했다. 이는 느리고 비효율적이며 때로는 분열을 야기하기도 했다. 온체인 거버넌스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블록체인 자체의 코드를 통해 규칙 변경 및 의사결정을 자동화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는 단순히 '투표'를 넘어, 탈중앙화 자율 조직(DAO)의 의사결정이 즉각적으로 기술에 반영되는 진정한 의미의 자율성을 구현한다. 이 글을 통해 온체인 거버넌스의 기술적 원리와 그 진화 과정, 그리고 대표적인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1. 거버넌스의 두.. 이전 1 2 3 4 5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