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와 RWA: 블록체인이 현실자산을 만났을 때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 시장에 가져올 혁신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어제(9월 29일)는 STO거래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일부 중복되는 내용도 있겠지만 이번에는 STO(증권형 토큰)와 RWA(현실자산)라는 두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이들이 어떻게 금융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지, 기술적으로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글을 통해 두 개념의 의미와 금융공학적, 기술적 접근법, 그리고 국내외 현황과 미래를 조망하고자 한다.1. STO와 RWA의 의미RWA(Real World Asset)는 말 그대로 '현실세계의 자산'을 뜻한다. 부동산, 주식, 채권과 같은 전통적인 금융자산은 물론, 미술품, 와인, 명품 시계, 심지어는 비행기나 선박과 같은 고가의 실물자산도 모두 RWA에 속한다. 이들 자산은..
STO 거래소: 금융의 미래를 여는 새로운 플랫폼
STO 거래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STO(Security Token Offering) 거래소가 무엇이고, 어떤 기술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 특징과 함께 국내외 현황, 그리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1. STO 거래소란 무엇인가?STO 거래소는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을 발행하고 거래하는 전문 플랫폼을 의미한다. 기존의 주식 거래소와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그 기반이 되는 기술과 거래 대상 자산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전통적인 증권(주식, 채권, 펀드 등)뿐만 아니라, 부동산, 미술품, 음악 저작권, 심지어는 비행기나 요트와 같은 고가의 실물 자산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토큰으로 변환하여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금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