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6) 썸네일형 리스트형 탈중앙화 리스크 관리: 온체인 파생상품의 안정성을 지탱하는 기술 탈중앙화 금융(DeFi)의 가장 역동적인 영역인 온체인 파생상품(On-Chain Derivatives), 즉 PerpDEX(Perpetual Decentralized Exchange)의 리스크 관리 구조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전통 금융에서 파생상품 거래는 중앙화된 청산소(Clearing House)와 복잡한 규제 시스템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된다. PerpDEX는 이러한 중앙화된 통제 없이도, 스마트 컨트랙트와 정교한 인센티브 메커니즘만으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선물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PerpDEX가 어떻게 마진(Margin) 관리, 청산(Liquidation) 메커니즘, 오라클(Oracle)의 신뢰성, 그리고 백스톱 펀드(Backstop Fund)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 STO 토큰화의 파급력과 PerpDEX의 새로운 역할: 현실 자산과 탈중앙 금융의 결합 금융 시장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두 가지 혁신, 즉 증권형 토큰(STO, Security Token Offering)과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PerpDEX)의 결합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암호화폐 시장은 디지털 네이티브 자산(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이제는 현실 자산(RWA, Real World Asset)을 블록체인으로 가져와 토큰화하는 STO가 금융 시장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혁신하고 있다. 이 STO가 PerpDEX와 결합할 때, 전통 금융 시장과 블록체인 금융 시장의 경계는 완전히 허물어지고 새로운 형태의 금융 파생상품 시장이 창출될 것이다. 이 글을 통해 STO의 기술적, 법률적 의미가 무엇인지, PerpDEX가 이 RWA 기반 파생상품 시장에서 어떤 .. MEV(Maximal Extractable Value)와 순서 조작 공격: 블록체인 거래의 숨겨진 비용 블록체인 거래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위협하는 근본적인 문제, 바로 MEV(Maximal Extractable Value)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MEV는 '최대 추출 가능 가치'로 번역되며, 원래는 BEV(Blockchain Extractable Value)로 불리기도 했다. 이는 블록체인의 블록 생산자(채굴자 또는 검증자)가 트랜잭션의 포함 여부, 순서, 그리고 위치를 임의로 조작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의미한다. 이 현상은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탈중앙화라는 가치 뒤에 숨겨진 '숨겨진 세금'으로 작용하며, 특히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서 사용자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 글을 통해 MEV의 기술적 배경,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대응 방안과 향후 전망을.. 크로스체인 파생상품: 블록체인 간 유동성 연결의 새 지평 블록체인 금융의 다음 단계인 크로스체인 파생상품(Cross-Chain Derivatives)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초기 블록체인 생태계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등 여러 개의 독립된 섬처럼 존재했다. 각 체인은 자신의 고유한 유동성을 가지며, 이 섬들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복잡하고 위험한 과정이었다. 이는 탈중앙화 금융(DeFi)의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크로스체인(Cross-Chain) 기술이며, 이 기술이 파생상품 거래소(PerpDEX)와 결합하며 유동성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 글을 통해 크로스체인 기술의 원리가 무엇인지, 여러 체인 간의 포지션 이동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레이어제로(LayerZero), 웜홀(Wormho.. 유동성 전쟁 2025: CeFi vs DeFi, 그리고 PerpDEX의 자리 암호화폐 시장의 미래를 결정할 가장 치열한 전선, 바로 유동성 전쟁(Liquidity War)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 전쟁은 수십 년간 금융 시장을 지배해온 중앙화 금융(CeFi)의 거인들(바이낸스, OKX 등)과, 새로운 기술 혁명을 등에 업은 탈중앙화 금융(DeFi)의 선봉대(PerpDEX)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다. 2025년 현재, 암호화폐 거래량의 압도적인 대부분은 여전히 CeFi의 선물 시장에서 발생하지만, PerpDEX의 기술적 진화는 이 구도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 글을 통해 CeFi와 DeFi의 근본적인 차이점이 무엇인지, PerpDEX가 어떻게 기술적 난제를 극복하고 유동성을 흡수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 유동성 전쟁이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시장점유율(Market Share).. AI 트레이딩과 PerpDEX: 자동화된 탈중앙 거래의 미래 금융과 기술의 두 가지 거대한 물결인 인공지능(AI)과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PerpDEX)의 융합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AI관련해서는 AI코인(9월 10일), 스테이블코인과 에이전틱 AI(9월 7일), AI 토큰과 추론고래(8월 21일), AI 토큰과 블록체인 토큰(8월 20일)등 여러 주제를 다루어 왔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AI 트레이딩 관련이다. 수십 년 동안 AI와 알고리즘은 월스트리트의 고빈도 매매(HFT) 시장을 지배해왔다. 이제 이 자동화된 트레이딩의 힘이 투명하고 비수탁적인 블록체인 환경, 특히 무기한 선물 거래를 제공하는 PerpDEX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이 결합은 단순한 기술적 발전을 넘어, 금융 시장의 접근성과 효율성, 그리고 투명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새로운 패러다.. PerpDEX란 무엇인가: 블록체인 파생상품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탈중앙화 금융(DeFi) 분야에서 가장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PerpDEX(Perpetual Decentralized Exchange)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PerpDEX는 전통적인 금융 시장의 핵심 상품인 무기한 선물 계약(Perpetual Futures)을 블록체인 상에서 구현한 플랫폼이다. 비트코인 현물 거래로 시작된 암호화폐 시장은 이미 파생상품 거래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는 중앙화 거래소(CEX)의 최대 수익원이었다. 하지만 FTX 사태 등 여러 사건을 겪으며, 사용자들은 자산 위탁(Custody)의 위험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탈중앙화된 파생상품 시장인 PerpDEX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PerpDEX가 무엇인지, 어떻게 기술적으로 구현되는.. 모듈러 블록체인의 오라클 문제와 해결책 블록체인 기술의 최신 패러다임인 모듈러 블록체인(Modular Blockchain)과 그 핵심 과제인 오라클(Oracle)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지난 블로그(9월 16일 : 모듈러 블록체인과 데이터 가용성)에서는 데이터 가용성에 대하여 이야기했고 중복되는 내용도 있으나 관점을 조금 바꾸어 생각해 보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하나의 블록체인이 모든 기능(합의, 실행, 데이터 가용성)을 담당하는 '모놀리식(Monolithic)' 구조를 가졌다. 하지만 이 구조는 확장성 한계에 부딪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모듈러 블록체인은 블록체인의 기능을 여러 개의 전문화된 레이어로 분리한다. 이 과정에서 각 레이어에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오라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 이 글을 통해.. 이전 1 2 3 4 5 6 7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