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스퀘어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67)
알트코인의 락업 해제: 디지털 자산 공급의 설계와 시장의 역학 알트코인 시장의 주요 변수 중 하나인 ‘락업 해제(Lock-up Release)’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언락(Unlock) 물량 폭탄’이라는 소문을 접하고 불안해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는 마치 기업의 상장 후 보호예수 기간이 풀리는 것과 비슷하다. 락업 해제는 단순한 기술적 이벤트가 아니라, 프로젝트의 토큰 경제학(Tokenomics) 설계와 시장의 공급-수요 역학이 만나는 지점이다. 이 글을 통해 락업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것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함께 심층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한다.1. 락업이란? - 알트코인 공급의 설계락업(Lock-up)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초기 투자자(VC, 벤처 캐피탈), 팀 멤버, 어드바이저,..
블록체인의 신뢰도를 설명하는 TVL: 디지털 금고의 총액 오늘 우리는 탈중앙화 금융(DeFi)의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TVL(Total Value Locked)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금융 시장에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매출, 순이익, 시가총액과 같은 익숙한 지표를 사용한다. 그러나 분산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특정 프로토콜의 성공과 신뢰도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정답은 바로 TVL이다. TVL은 단순한 숫자를 넘어, 사용자들이 특정 프로토콜의 코드와 약속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다. 이 글을 통해 TVL의 정의와 기술적 의미, 그리고 그 한계와 미래를 함께 탐구해 보고자 한다.1. TVL이란? – 디지털 금고에 예치된 자산TVL(Total Value Locked)은 특정 탈중앙화 금융 프로토콜이나 스마트..
스테이블코인과 에이전틱 AI: 자율 경제의 시작을 알리다 오늘 우리는 금융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과 인류의 지능을 모방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의 흥미로운 만남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 두 기술은 겉보기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일 수 있다. 하나는 금융 자산이고, 다른 하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둘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으며, 중앙 기관 없이 작동하는 완전히 새로운 자율 경제 시스템, 즉 '자율 에이전트 경제(Autonomous Agent Economy)'를 구축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이들의 기술적 배경과 결합의 의미, 그리고 미래의 변화를 함께 탐구해 보고자 한다.1. 두 기술의 정의: 안정성과 자율성먼저, 이 두 기술이 무엇인지 명확히 정의하고자 한다.1.1 스테이블코인(S..
에어드랍과 코인 시장: 공짜 코인, 그 이상의 의미 암호화폐 시장에서 뜨거운 화제가 되어온 에어드랍(Airdrop)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에어드랍은 말 그대로 하늘에서 선물을 떨어뜨리듯, 특정 암호화폐나 토큰을 지갑에 무료로 배포하는 행위를 말한다. 단순한 마케팅 수단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에어드랍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생태계 확장, 탈중앙화 촉진, 그리고 새로운 금융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글을 통해 에어드랍의 기술적 배경부터 현재의 동향, 그리고 코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까지 탐구해 보고자 한다.1. 에어드랍이란?에어드랍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자신들의 암호화폐나 토큰을 특정 사용자들의 지갑에 무상으로 배포하는 마케팅 및 배분 방식이다. 이는 주로 새로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 이루어지며, 프로젝트의 인지도를 높..
비트코인과 채굴풀의 관계 : 분산화의 역설 비트코인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주체 중 하나인 채굴풀(Mining Pool)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핵심은 탈중앙화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탄생 직후부터 소수의 채굴풀이 네트워크의 해시 파워(컴퓨팅 연산력)를 장악하면서, 탈중앙화라는 비트코인의 철학에 근본적인 도전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채굴풀이 무엇이며,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이 가져온 문제점과 미래는 어떻게 될지 함께 탐구해 보고자 한다. 1. 채굴풀의 정의와 관련 기술채굴풀은 여러 채굴자들이 각자의 컴퓨팅 자원(연산력)을 모아 하나의 팀을 이루고, 블록을 채굴하여 얻은 보상을 기여도에 따라 나누어 가지는 협력체다. 채굴풀이 등장한 배경에는 비트코인 채굴의 기술적 난이도 상승이 있다...
RWA란 무엇인가: 현실 자산의 디지털 전환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가장 현실적이고 혁신적인 가능성 중 하나인 RWA(Real World Assets), 즉 현실 자산의 토큰화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디지털 세계에서만 존재하는 가상 자산이었다면, RWA는 그 기술을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실물 자산으로 확장한다. 부동산, 미술품, 채권 등 현실 세계의 가치 있는 자산을 블록체인 위에 올리는 이 기술은 전통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DeFi)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 글을 통해 RWA가 무엇인지, 어떤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지, 그리고 그 미래는 어떻게 될지 함께 탐구해 보고자 한다. 1. RWA의 정의와 관련 기술: 디지털 증명서의 탄생RWA(Real World Assets)는 말 그대로 '현실 세계의 자산'을 의미한다. 부동산,..
이더리움과 스테이킹 그리고 보안: 탈중앙화 금융의 핵심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혁신 중 하나인 스테이킹(Staking)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특히, 비트코인에 이어 시가총액 2위 암호화폐인 이더리움(Ethereum)이 스테이킹을 핵심 기술로 채택하면서 스테이킹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스테이킹이 무엇인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보안은 어떻게 확보되는지 함께 심층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한다. 1. 스테이킹의 기술적 정의스테이킹은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하고,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보안과 운영에 기여하는 행위를 말한다. 스테이킹은 주로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방식의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합의 알고리즘의 핵심 요소다.스테이킹의 작동 원리: 네트워크 참여자(밸리데이터)는 일정량의..
암호화폐 지갑과 메타마스크: 디지털 자산의 문을 여는 열쇠 이전 블로그에서 암호화폐 지갑에 대하여 단편적으로 이야기했었지만, 오늘은 암호화폐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도구인 암호화폐 지갑(Cryptocurrency Wallet)에 대해 좀더 이야기하고자 한다.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 지갑을 실제 돈을 넣는 지갑처럼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암호화폐 지갑은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는 장소가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거래를 승인하는 데 필요한 '열쇠'를 보관하는 도구에 더 가깝다. 특히, 이더리움 기반 지갑의 대명사로 불리는 메타마스크(MetaMask)를 중심으로 그 작동 원리와 활용법을 함께 탐구해 보고자 한다. 1. 암호화폐 지갑의 기술적 정의암호화폐 지갑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자산을 관리하고 거래를 승인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