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서도 지갑은 남는다 – 블록체인과 디지털 유산 문제
1. 디지털 자산, 죽음을 넘는가?한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남겨진 것은 유품만이 아니다. 지금 우리는 생전에 남긴 디지털 흔적과 자산도 함께 마주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암호화폐, NFT, DAO 지분, 디지털 월렛)은 전통적인 상속 체계와 완전히 다른 문제를 던진다.은행 계좌는 사망 신고와 함께 상속 절차가 진행된다. 그러나 시드 구문(seed phrase:암호화폐 지갑 생성 시 제공되는단어들의 조합으로, 지갑복구와 관련된 모든 키를 생성할 수 있는 마스터키 역할), 개인지갑, 멀티시그(Multisig:2개 이상 서명필요) 키, 그리고 NFT로 남은 유산은 고인의 죽음과 함께 그 존재를 잃을 수도, 혹은 누구도 열지 못한 채 블록에 남아버릴 수도 있다.이제 우리는 묻게 된다."사람..
NFT 결혼 반지? 블록체인으로 사랑을 증명할 수 있을까?
1. 사랑과 기술의 결합, 상상인가 현실인가 “블록체인으로 사랑을 증명할 수 있을까?” 누군가 이 질문을 던졌을 때, 대부분은 웃으며 말할 것이다. “결혼은 마음이지, 코인이 아니야.” 하지만 지금 세계 곳곳에선 실제로 NFT로 반지를 만들고, 스마트컨트랙트로 결혼을 맺으며, 메타버스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커플들이 등장하고 있다. 단지 기술이 재미를 위한 장난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증명 방식’ 자체를 바꾸려는 움직임이다.이 글에서는 Web3와 블록체인이 어떻게 인간 관계, 그중에서도 결혼이라는 제도와 연결되고 있는지를 기술적, 사회문화적 시선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서비스들, 한계점, 미래의 변화 가능성까지 함께 살펴본다. 2. NFT 커플링: 영원한 디지털 반지과거의 반지는 눈에 ..
탈중앙화 여행기 – 크립토만으로 유럽 1주일 살기 도전기(픽션)
1. 여권, 백팩, 그리고 지갑 대신 ‘월렛’여행은 자유를 상징한다. 그런데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에 갇힌 상태로 과연 진정한 자유여행이 가능할까? 비자 수수료, 환전 수수료, 은행 영업시간, 카드 결제 불가 상점들… 이 모든 것은 '돈'이라는 인프라가 글로벌하지 않다는 증거다. 그래서 나는 시도했다. 현금도 카드도 없이, 단지 디지털 월렛 하나로 유럽을 살아보기.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그리고 USDT·DAI 같은 스테이블코인만을 넣은 월렛을 들고 1주일간 유럽을 다녀왔다. 목적은 단순하다. 크립토만으로 얼마나 불편하고, 또 얼마나 가능한가? 여행전문가이자 IT 전문가로서, 나는 지금 여행이라는 일상의 영역에 Web3가 침투할 수 있는지를 실험했다. 2. 항공권: 탈중앙 플랫폼은 있었지만,..